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기업분석

포쉬마크 기업분석 3편: 포쉬마크 비즈니스 모델 / 판매 제품 / 사업국가

by 서윗한 양파 2022. 3. 10.
반응형

포쉬마크 POSH 기업분석 3편 포스팅입니다. 이전 포스팅인 2편에서는 창업자 겸 CEO에 대한 내용과, 중고거래 시장 동향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3편 포스팅에서는 포쉬마크의 비즈니스 모델, 판매제품 카테고리 소개, 사업하고 있는 국가/지역 등에 대해 말씀드리려합니다.

 

1. 포쉬마크의 비즈니스 모델 (수익구조)

이전에 1편에서 기업 개요를 말씀드릴 때 짧게 언급은 드렸지만, 포쉬마크는 중고거래를 위한 플랫폼 업체이고, 판매 건 당 받는 수수료가 수익 모델이 됩니다. 하지만 이 플랫폼 내에서는 '중고' 물품만 거래 되는 것은 아니고, 새 제품들도 같이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포쉬마크(poshmark)는 크게 1) P2P 거래 판매 수수료, 2) 프리미엄 부티크 서비스, 3) 도매 판매를 통해 거래되는 제품에 대한 할인을 통해서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1) 중고물품 거래 P2P 판매에 대한 수수료

포쉬마크(poshmark)는 거래되는 물품에 대해서 자체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는 않고, 구매자와 판매자 간 거래의 중개 역할을 합니다. 15달러 미만의 판매 거래에 대해서 포쉬마크는 약 2~3달러의 고정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고, 15달러 이상의 판매 거래의 경우에는 20%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2) 프리미엄 부티크 수수료

포쉬마크 플랫폼에서의 '부티크'는 특정한 브랜드의 제품들이, 도매 또는 유통업자로부터 직접 구매되어 대중에게 새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부티크' 카테고리에서의 판매자들은 중고물품들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아무도 사용하지 않은 새 제품을 포쉬마크 플랫폼을 통해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포쉬마크 플랫폼 내에서 부티크 카테고리로 태그 되는 것은 파매되는 것이 진품&새제품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부티크 판매자들은 상품을 구매한 장소에 대한 증거, 제품 설명, 선명한 사진 등등 몇가지 정해진 규칙을 따라야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3) 도매 수수료

포쉬마크 플랫폼 내에서 물품들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판매할 재고들을 포쉬마크와 연계된 도매업체들로부터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에서 포쉬마크는 도매업체↔포쉬마크 판매자 간의 거래되는 도매 물품 금액의 일부를 중개 수수료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2. 포쉬마크 판매 제품 카테고리

포쉬마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은 여성 패션, 남성 패션, 키즈 의류 및 악세사리, 명품 가방 등 뿐만 아니라, 뷰티/애완동물/홈 데코 관련 카테고리 제품들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판매 카테고리도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어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이트 내에서 카테고리 분류를 보면 여성, 남성, 키즈, 홈, 펫, 뷰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카테고리 내에서도 악세사리, 쥬얼리 ,신발, 셔츠, 백 등등 하위 카테고리들이 다시 나눠집니다.

카테고리가 단순 의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용품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은 타사 대비 장점인 것 같습니다. 또한 홈페이지 UI/UX도 카테고리별 선택이나 특정 브랜드들만 분류해서 조회가능한 점도 괜찮았습니다.

 

3. 현재 포쉬마크 플랫폼의 사업 국가

포쉬마크는 미국에서부터 시작해서 캐나다, 호주, 인도 순서로 사업을 운영하는 국가들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호주와 인도지역은 포쉬마크에 있어서는 초기 사업확대 단계입니다.

 

2019년 5월: 미국 내에서만 운영하던 사업을 캐나다로 확장

2019년 6월: 홈 데코 카테고리 제품 출시

2020년: 뷰티 영역으로 카테고리 추가 확장

2021년 2월: 애완동물 관련 카테고리 출시, 북미를 넘어서 호주 지역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

2021년 9월: 인도지역으로 사업영역을 추가 확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