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블로그와 글쓰기 관련된 여러 꿀팁들을 얻으려 관련 유튜브 영상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블로그 글 유형별 글 쓰는 시간 조절 관련 영상을 봤습니다.(from 유튜브 이사양잡스). 공부한 내용 정리차 블로그에 글을 남겨보겠습니다.
1. 이슈 키워드 블로그 포스팅
이슈 글은 최대 15분 안에 사진과 광고까지 다 넣고 발행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슈 글이라는 것은 거의 일회성 키워드로 말 그대로 그 순간에만 이슈가 돼서 사람들이 검색하는 키워드입니다. 최대한 빨리 발행해서 많은 사람들을 유입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블로그들의 이슈 글들을 봐도 보통 기사에 흔히 나오는 내용들을 짜깁기 해서 쓴 것이지 실제로 새로운 내용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이슈 키워드를 여러 번 검색해서 이 블로그 저 블로그 다 읽어보는 사람들은 혹시나 새로운 내용이 있을까 하고 들어온 것인데, 사실은 새로운 내용이 없는 상황이죠.
블로거 입장에서 이슈 키워드 블로그 글의 목적은 특별한 특종 정보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광고에 사람들이 노출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제목과 썸네일을 통해 사람들을 들어오게 만들고, 그 글 안에서 나오는 광고 중에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게 있다면 그걸 클릭하게 되고 블로거들은 수익을 얻게 됩니다.
결론: 이슈 글을 잘 쓰면 정보성 글이 돼서 사람들이 두고두고 검색하겠지?라는 생각은 맞지 않습니다 썸네일과 제목 키워드를 제외하고는 크게 신경 쓰지 말고 최대한 빨리 발행하려고 노력할 것.
2. 정보성 키워드 블로그 포스팅
정보성 키워드 글은 시간을 더 들여서 정성스럽게 써야 합니다. 30~40분 정도는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성 글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정부의 정책에 새로 시행이 된다고 공지가 되면, 그 내용에 대해 여기저기서 기사와 글을 쓰게 됩니다. 하지만 조회수 유입을 노려서 정리를 하지도 않은 채 글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서 정보성 키워드를 쓴 블로그 글들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도 이해하지 못한 채 글을 쓰게 된 것이죠.
정보성 글을 쓸 때 집중해야 하는 포인트는 정리를 가독성 좋고 이해하기 쉽게 제대로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중요한 포인트들이 잘 드러나게 글을 써주어야 합니다. 기존에 올라와있는 수많은 정보성 포스팅들과 기사들을 다시 깔끔하게 정리해서 올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슈성 키워드와는 다르게 정보 이해하는데도 시간을 더 써야 하고 맞춤법 검사 등도 진행해야 함)
결론: 정보성 키워드 포스팅은 이슈성 글보다는 훨씬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기존의 글들의 정보를 깔끔하게 다시 정리해서 발행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만 티스토리를 통해서 정보성 글을 쓰려면 과하게 사진/그림을 설명하려고 하기보다는 웬만하면 글으로 설명을 하고, 가독성을 위해 꼭 필요한 경우에만 그림을 넣어서 설명할 것.
3. 전문성 키워드 블로그 포스팅
이는 검색량이 굉장히 많은 키워드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사람들도 몰라서 보통의 블로거들이 자세하거나 쉽게 설명할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자신이 전문성을 갖고 있거나, 그쪽 분야에 종사를 하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문성 키워드 글을 의미합니다. 전문성 키워드의 글은 하루 1개밖에 못쓰고 글을 쓰는데 2~3시간씩 걸리고, 며칠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제대로만 쓰게 된다면 사람들이 유입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전문성 글을 읽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구글 검색창 2페이지/3페이지 까지 넘어가서라도 찾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전문성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만, 글을 쓰게 된다면 꾸준한 유입이 가능하므로 발견하게 된다면 2~3시간 들여서라도 정성스럽게 포스팅해야 합니다. 저도 이런 전문성 글을 쓸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썸네일 만들기 / 미리캔버스 사용법 (0) | 2022.03.09 |
---|---|
블로그 초보 / 티스토리 블로그 글 쓸 때 주의사항 (구글 SEO 최적화) (0) | 2022.03.05 |
식당/카페 비대면 방식 키오스크와 서빙로봇의 확대 (0) | 2022.03.02 |
일론머스크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서비스 제공 (0) | 2022.03.01 |
방역패스 해제 및 밀접접촉자 격리 기준 변경 (코로나19 관련 규정 변화)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