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를 최근에 시작하게 되면서, 여러 루트로 블로그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네이버 블로그를 6개월 전부터 운영해왔고 엄청난 성공을 한 것은 아니지만 제 기준에서는 꽤 성장한 상태인데요. 하지만 네이버는 광고수익이 높지 않아 티스토리 블로그도 병행해보려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구글 SEO 최적화를 노려야 하기 때문에 글 쓰는 방법이 제가 네이버에서 해왔던 것과 다른 것 같습니다. 제가 알게 된 티스토리 블로그 글쓰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구글 SEO 최적화란?
티스토리 블로그 관련 내용들을 검색하고 찾아보면, 티스토리는 구글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위한 블로그이고, 구글 검색에서 상위 노출되어야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라는 말을 많이 들으셨을 텐데요. 구글 SEO 최적화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엔진 최적화라는 의미입니다. 즉 구글의 검색엔진에 최적화된 글을 써서 구글 검색 시 상위 노출되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 글쓸 때 주의사항
1) 글자 수
글자 수는 약 1000자 내외 정도로 하면 되지만 꼭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목과 내용이 일치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
(글자 수 자체는 더 적어도 되고 더 많아도 됩니다.)
2) 글 단락 / 양식
h1, h2, h3, h4 라는 html 태그를 활용해야 합니다. 구글 SEO 로봇이 블로그 글이 얼마나 깔끔하게 작성되어있는지 볼 때는 제목과 소제목, 그리고 소제목 밑의 단락 등을 확인한다고 하는데요. 티스토리 글을 쓰는 화면에서 제목 1, 제목 2, 제목 3, 본문 1, 본문 2, 본문 3 중에 글 속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글 자체의 제목이 h1 태그가 되는 것이고, 제목 1(h2태그), 제목 2(h3태그), 제목 3(h4태그)이 됩니다.
구글 SEO가 좋아하는 글 양식: 제목 → 디스크립션 → 소제목1(h2테그) → 본문 → 소제목 2(h3태그) → 본문 → 소제목 3(h4태그) → 본문
3) 맞춤법검사 및 말투
네이버 블로그에서 쓰는 블로거 말투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했습니다. ~했어요." 같이 문법에 맞게 글을 써야 하는데 친구들과 카카오톡으로 말하듯이 이모티콘과 자음을 남발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티스토리 글쓰기 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시면 굉장히 편리합니다.
4) 티스토리 사진 업로드 시 주의사항
티스토리 블로그 글 포스팅을 할 때 사진 갯수도 가능한 최소화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사진을 사용하지 않고, 가독성 및 설명을 위해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최대 2~3개 정도 넣습니다. 그 이유는 구글 SEO에서는 페이지 리딩 속도까지 고려하는데 사진이 너무 많으면 그 사이트 웹페이지는 열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구글 로봇이 판단해버립니다. 설명을 위해 사진이 많이 들어가야하는 경우에도 사진 편집 프로그램의 '이어 붙이기' 기능을 통해서 사진 개수를 줄여야 합니다.
- 사진 개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 다만, 저는 정보성 키워드의 글의 경우 썸네일을 위해서 하나 정도는 사진을 넣으려고 합니다.)
- 사진 용량이 커지지 않도록 해상도도 720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photoscape라는 무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어 붙이기나 해상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사진 파일 이름도 이미지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해서 업로드해야 합니다.
- alt tag라고 해서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사진 별로 alt tag 설명을 넣어야 합니다.
(alt tag: 시각장애인들에게 사진을 설명해주는 태그로, 구글 같은 대기업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시스템을 얼마나 잘 갖춰놨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지켜주는 포스팅을 더 우대한다고 합니다. 그런 SEO 최적화를 위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alt tag의 취지를 생각하면 꼭 추가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활정보 &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인터넷 발급 받기 (0) | 2022.03.11 |
---|---|
블로그 썸네일 만들기 / 미리캔버스 사용법 (0) | 2022.03.09 |
블로그 초보 / 키워드 유형별 글 쓰는 시간 조절하기 (이슈성/정보성/전문성 키워드) (0) | 2022.03.05 |
식당/카페 비대면 방식 키오스크와 서빙로봇의 확대 (0) | 2022.03.02 |
일론머스크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서비스 제공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