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텔라닥 기업분석 2편 포스팅입니다. 1편에서는 텔라닥 기업에 대한 요약 정보와 주가 흐름, 아크인베스트의 투자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렸습니다. 2편에서는 미국 및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언급해보려합니다. 이 포스팅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닙니다. 저는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미국의 특이한 의료환경
우리나라와 같이 의료 환경이 발달한 경우, 원격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는 그나마 비대면 원격 진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라고 생각이 들겠지만, 코로나 상황이 아닌 경우 원격진료가 필요한가? 하는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부 시골, 외곽지역을 제외하고는 땅 자체가 크지 않고 병원 수가 많기 때문에 병원 접근성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미국에서는 병원에 찾아가 진료를 받으려면 보통은 예약을 하고 2주 뒤에 찾아갸아하고 대기시간도 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의료보험이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미국의 경우 의료보험 시스템이 잘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1인당 의료 부문 지출이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일반 진료보다 상대적으로 진료비가 저렴한 원격 진료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내에서 의료진 부족 상황에 대한 전망은 향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측 된다고 합니다. 미국은 땅덩이가 넓다 보니 병원까지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들도 꽤 많이 존재합니다.
해외 원격의료 상황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라는 기관의 조사를 보면, 2026년까지 글로벌 원격의료 산업 시장은 연평균으로 19.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년 간 세계를 뒤덮은 코로나 상황에 의해 미국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도 원격 의료분야에 대해서 보다 진행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텔라닥의 해외 진출 상황
텔라닥의 경우에는 현재 미국 이외에도 남미, 유럽, 호주, 중국, 뉴질랜드 등에 이미 진출했다고 합니다만, 해당 지역들 매출액을 확인해보면 현재는 미국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고 해외 사업 비중은 미미한 정도라고 합니다. 또한 미국에서는 텔라닥이 원격의료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해당 국가 내의 네이티브한 원격의료 서비스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그들과 경쟁해야한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재테크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라닥 TDOC 주가 / 기업분석 4편: 리봉고 인수 합병 (0) | 2022.03.05 |
---|---|
텔라닥 기업분석 3편: 텔라닥 비즈니스 모델 (수익 구조) (0) | 2022.03.04 |
원격의료 관련 주식 텔라닥 헬스(TDOC) 기업분석 1편: 텔라닥 요약, 주가 흐름 (0) | 2022.03.03 |
미국주식 레모네이드 기업분석 4편: 레모네이드 수익구조와 재보험 (0) | 2022.03.03 |
2022년 미국주식 써머타임 날짜 / 개장시간 (0) | 2022.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