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인터넷을 가입할 때 여러 통신사 중에 선택하게 되고, 한 통신사 안에서도 요금제나 약정을 선택하게 되는데요. 그중 요금제를 선택할 때 최대 인터넷 속도 수치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을 많이 들으셨을 거예요. 그리고 그때 들었던 그 숫자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 인터넷이 조금 느리다고 생각될 때, 실제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한번 측정해보고 싶으잖아요? 인터넷 속도를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법 바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인터넷 속도는 얼마인가?
1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 10기가 인터넷 등등 속도 관련된 용어들 기억나시나요? 대부분은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하더라도, 인터넷 랜선에 바로 PC를 연결했는지, 아니면 공유기를 이용해서 한번 거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2.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 / 인터넷 속도 확인 사이트
우선,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에서 인터넷 속도가 얼마인지 한번 테스트해보겠습니다. 인터넷 속도를 확인하는 사이트들은 굉장히 많은데요. 무료 사이트도 있고, 유료이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는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물론 유료 사이트는 제공하는 정보가 조금 더 많을 수 있지만, 오늘 저는 간단한 인터넷 속도 수치만 확인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무료 사이트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네이버, 구글 검색창에 인터넷 속도 측정이라고 키워드를 검색합니다. 그럼 여러 사이들이 나오는데 그 중 fast.com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fast.com 사이트에 접속하고 나서는 따로 무언가를 해줘야 하는 것은 없습니다. 바로 인터넷 속도가 측정이 됩니다.
3. 실제 인터넷 속도 계산하기
위에서 속도 확인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면 XXXMbps, XXMbps 이런식으로 결과를 보셨을 텐데요. 예를 들어 100Mbps라고 하면 1기가바이트 용량의 동영상을 다운로드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까요? 한번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bps란 bits per second라고 해서 초당 통신하는 비트 수를 뜻합니다. 그럼 100메가 속도라고 불리는 100 Mbps는 초당 100M bit 수만큼을 통신한다는 의미이고, 흔히 프로그램 용량 100메가바이트와는 단위 자체가 다릅니다.
1byte=8bits이기 때문에 100Mbps는 나누기 8을해서 12.5메가바이트의 용량을 초당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됩니다. 그럼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12.5기가바이트 용량의 동영상을 다운 받으려면 1GByte=1024MByte이므로, 1024초가 소요된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이 계산은 실제 네트워크 환경,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키워드 플래너 사용 방법 / 구글 애드(ads) 가입하기 (0) | 2022.03.13 |
---|---|
이미지 용량 줄이는 방법 / tinyPNG 사이트 활용 (0) | 2022.03.12 |
윈도우10 다크모드 설정 방법 / 눈 피로 줄이기 (0) | 2022.03.11 |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인터넷 발급 받기 (0) | 2022.03.11 |
블로그 썸네일 만들기 / 미리캔버스 사용법 (0) | 2022.03.09 |
댓글